https://mpjamong.tistory.com/130
참고 글
firewalld 서비스 관리
서비스 시작
[root@localhost ~]# systemctl start firewalld
# 서비스 재시작
[root@localhost ~]# systemctl restart firewalld
# 서비스 중지
[root@localhost ~]# systemctl stop firewalld
# 서비스 등록
[root@localhost ~]# systemctl enable firewalld
# 서비스 상태 확인
[root@localhost ~]# systemctl status firewalld
# firewalld 정책 저장 또는 적용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reload
# firewalld 설정파일 경로
[root@localhost ~]# vi /etc/firewalld/firewalld.conf
firewalld 존(zone) 관리
# 사전 정의된 zone 목록 확인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zones
block dmz drop external home internal public trusted work
# 기본 설정 zone 확인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default-zone
public
# 기본 zone 변경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set-default-zone=external
# 현재 설정 확인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all
# 전체 zone 목록 상세 확인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all-zones
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zone 리스트 확인 (변경 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active-zone
external
interfaces: enp0s8 enp0s3
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zone 변경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change-interface=enp0s3 --zone=public
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zone 리스트 확인 (변경 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active-zone
external
interfaces: enp0s8
public
interfaces: enp0s3
# 신규 zone 추가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new-zone=test
success
# 기존 zone 삭제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delete-zone=test
success
firewalld 서비스 관리
# 사전 등록된 서비스 목록 확인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services
# 사전 정의된 서비스 파일 위치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get-services
# 특정 zone에 허용된 서비스 리스트 확인 (서비스 추가 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service --zone=public
cockpit dhcpv6-client ssh
# 특정 zone에 서비스 추가 (http, https, dns, telnet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http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https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dns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telnet
# 특정 zone에 서비스 삭제 (telnet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remove-service=telnet
# 서비스 추가 후 서비스 적용을 위해 방화벽 재시작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reload
# 특정 zone에 허용된 서비스 리스트 확인 (서비스 추가 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service --zone=public
cockpit dhcpv6-client dns http https ssh
firealld 포트(port) 관리
# 허용 포트 리스트 확인 (추가 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port --zone=public
# 특정 포트 TCP 8080, 8081 추가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8080/tcp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8081/tcp
# 특정 포트 TCP 8081 삭제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remove-port=8081/tcp
# 포트 적용을 위한 방화벽 재시작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reload
# 허용 포트 리스트 확인 (추가 후)
[root@localhost ~]# firewall-cmd --list-port --zone=public
8080/tcp
'Linux > Rocky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cky Linux, Laravel : Docker Mysql, Heidisql로 접속 (0) | 2023.06.19 |
---|---|
Rocky Linux : PHP - 가상호스팅 설정 (0) | 2023.06.15 |
이전까지의 잘못된 거와 제대로 된 실행 (0) | 2023.06.14 |
Rocky Linux : 포트포워딩과 도커를 이용해서 외부에서 내부 사이트 들어오기 (0) | 2023.06.14 |
Rocky Linux, Laravel : The stream or file "/var/www/html/storage/logs/laravel.log" 오류 (0) | 2023.06.14 |